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 전세자금대출 한도 계산법|내 소득으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by 모멘텀매니저 2025. 3. 26.

🏠 전세자금대출 한도 계산법|내 소득으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전세를 준비하면서 가장 먼저 궁금한 것이 바로 '전세자금대출 한도가 얼마나 나올까?' 하는 부분입니다. 특히 요즘처럼 금리가 높고, 집값과 전셋값이 계속해서 움직이는 상황에서는 정확한 전세자금대출 한도 계산법을 알고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내 소득 기준으로 전세자금대출 한도를 어떻게 계산하는지, 그리고 DSR 규제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전세자금대출 한도, 어떻게 정해질까?

전세자금대출의 한도는 단순히 집값의 일정 비율로 정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과 같은 여러 기준이 함께 작용합니다.

  • 주택가격 또는 전세보증금의 일정 비율 (보통 최대 80% 이내)
  • 개인의 연 소득 및 부채 수준
  •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기준
  • 금융기관별 내부 심사 기준

예를 들어 보증금이 2억 원인 전세를 계약하려 할 때, 보통 최대 1억6천만 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다고 알고 계시지만, 실제로는 소득 수준기존 부채에 따라 이보다 적은 금액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전세자금대출 한도 계산의 핵심: 소득 기준 + DSR

가장 현실적인 한도 계산은 내 연 소득DSR 규제 기준을 기준으로 할 수 있습니다.

📌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란?

DSR은 연 소득 대비 연간 갚아야 할 모든 대출 원금 + 이자 비율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연소득이 4,000만 원인 경우, DSR 40% 기준이라면 연 1,600만 원 이내로 모든 대출 원리금을 갚을 수 있어야 합니다.

실제 계산 예시|내 소득으로 얼마까지 가능할까?

💡 예시 1: 연 소득 4,000만 원, 기존 대출 없음

- DSR 40% 적용 시, 연간 상환 가능 금액: 약 1,600만 원
- 금리 연 4%, 대출기간 20년 기준으로 역산하면

👉 약 1억8천만 원 전세자금대출 가능
💡 예시 2: 연 소득 3,000만 원, 기존 대출 월 30만 원 상환 중

- 연간 기존 대출 상환액: 약 360만 원
- 남은 상환 여력: 약 840만 원
- 금리 연 4%, 대출기간 20년 기준으로 계산 시

👉 약 9천만 원~1억 원 전세자금대출 가능

이처럼 동일한 전세를 구하더라도 소득과 기존 대출 유무에 따라 한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보증금의 80%를 적용하기보다는 자신의 DSR 상태를 먼저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부지원 전세대출 상품의 한도는 조금 다르다?

청년, 신혼부부, 저소득층 등을 위한 정부지원 전세자금대출은 일반은행 대출보다 한도가 더 유리하게 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최대 1억2천만 원

청년 전세자금대출

최대 7천만 원~1억 원

신혼부부 전세대출

최대 2억 원까지도 가능

단, 이러한 상품들도 개인 소득 기준보증금 기준, 지역별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DSR 규제도 적용되므로 무조건 높은 한도를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전세자금대출 한도 계산 전 꼭 확인해야 할 팁

  • 내 연 소득이 얼마인지 정확히 파악하기
  • 기존 대출(카드론, 학자금, 신용대출 등)의 월 상환액 정리하기
  • DSR 기준 적용 여부 확인 (은행/상품마다 상이)
  • 가능하면 은행 앱에서 미리 한도 조회해보기
  • 정부지원 상품과 일반 전세대출의 차이 비교해보기

마무리|한도 계산은 계획의 시작이다

전세자금대출 한도 계산법을 정확히 이해하면, 내 현실에 맞는 전셋집을 찾고 재정적인 계획을 더 탄탄하게 세울 수 있습니다. 단순히 한도가 많이 나오면 좋은 것이 아니라,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내 상황에 맞는 대출 상품과 한도를 잘 조합해서, 안전한 전세 생활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